전기 요금 납부 안내 및 방법

똑똑하게 전기 요금 납부하는 방법, 이제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안녕하세요! 2025년 10월, 대한민국에서 전해드리는 생활 꿀팁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전기 요금 납부, 더 이상 번거롭게 금융기관이나 지사를 방문하지 않아도 됩니다. 오늘은 인터넷을 통해 쉽고 빠르게 전기 요금을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본 정보는 2025년 8월 20일에 최종 수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전기사업법에 의거하여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참고했습니다. 최신 정보는 반드시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왜 인터넷 납부가 좋을까요?

  • 시간 절약: 은행 방문 없이 언제 어디서든 납부 가능합니다.
  • 간편함: 클릭 몇 번으로 복잡한 절차 없이 납부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결제 수단: 계좌이체, 신용카드, 포인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납부 방법, A부터 Z까지

1. 한전 사이버지점 이용

가장 편리하고 일반적인 방법은 한전 사이버지점(http://cyber.kepco.co.kr/ckepco/)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 계좌이체:
    • 한전 사이버지점 인터넷 납부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객의 은행 계좌에서 전기 요금을 납부합니다. (전 고객 납부 가능, 별도 수수료 없음)
    • 가능 은행: 우리, 국민, 기업, 농협, 신한, 외환, 우체국, SC
  • 신용카드 및 포인트:
    • 한전 사이버지점 인터넷 납부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객의 신용카드로 전기 요금을 납부합니다.
    • 대상: 주택용 고객, 주거용 심야전력(갑) 고객, 계약전력 20kW 이하 전 고객
    • 별도 수수료 없음. 선불카드(기프트카드) 제외
    • 신용카드 납부 가능 카드사: 국민, 광주, 외환, 롯데, 신한, 현대, 하나SK, BC, 삼성, 전북, 제주, 시티, 농협NH, 수협, 우리BC
    • 신용카드(포인트) 납부 가능 카드사: 신한, 국민, 외환, 롯데, 하나SK, 제주, 시티, 농협NH

2. 인터넷 지로 이용

  • 금융결제원 지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의 은행 계좌에서 전기 요금을 납부합니다.
  • 이용 시간: 09:00~22:00 (토, 일, 공휴일 제외)

자동납부, 더 쉽고 편리하게!

매달 납부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싶다면 자동납부를 신청하세요. 전기 요금 1% 할인 혜택(1,000원 한도, 신용카드 자동납부 제외)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 한전 사이버지점에서 공동인증서로 신청
    • 한전 고객센터(☎ 123) 신청
    • 한전 지점 또는 금융기관 방문 신청 (전기 요금 청구서, 예금통장, 거래용 인감, 신분증 지참)
    • 은행 계좌: 은행,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우체국 및 농협, 수협
    • 신용카드: 국민, 광주, 외환, 현대, 하나SK, 신한, BC, 삼성, 전북, 제주, 롯데, 농협NH, 수협 (대상: 주택용 고객, 주거용 심야전력(갑) 고객, 계약전력 20kW 이하 전 고객)
    • 증권계좌: 동양종합금융, 현대, 미래에셋, 대우, 삼성, 한국투자, 우리투자, 하이투자, 에이치엠씨투자, 한화, 하나대투, 굿모닝 신한증권, 유진투자증권, 신영증권, 메리츠증권, 동부증권, 부국증권, 대신증권, NH투자증권
  • 출금 방법:
    • 납기일에 자동이체 납부계좌에서 출금
    • 미납요금에 대해 납기일 이후 1회(납기일+10일 후) 전기 요금 추가 출금 가능

지정/가상 계좌 이용

  • 지정계좌: 고객번호 단위별(계량기별) 부여된 전기 요금 납부 전용 계좌 (청구서 표시)
    • 우리, 신한, 국민, 농협, 하나, 기업, 외환, 우체국, 부산, 경남, 제주, 전북, 대구, 광주은행 (지방은행은 해당 지역 고객에만 해당)
  • 가상 계좌: 한전 고객센터(☎ 123)를 통해 고객 요청 시 별도 부여되는 한시적 가상 계좌
    • 농협, 국민, 신한
    • 유효기간: 가상 계좌 부여일 포함하여 영업일 기준 2~3일간
    • 다구좌 고객(계량기를 여러 개 사용)의 경우에도 하나의 계좌번호로 일괄 입금 가능
  • 납부 방법:
    • 지정 또는 가상 계좌로 무통장입금, 텔레뱅킹, 금융기관 인터넷 뱅킹
    • 타행이체 시 계좌이체 수수료 발생
    • 지정계좌/가상 계좌 납부 시, 청구 요금(미납 요금 포함)을 입금하면 수납 정리

텔레뱅킹으로 간편하게

전화 한 통으로 전기 요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 납부 방법:
    • 전기 요금 납부 전용 전화번호 (060-7091-123)
    • 자동응답 안내 시스템에 따라 고객 거래 은행의 전화 결제 서버 연결
    • 고객 은행 계좌에서 즉시 계좌이체 납부 (24시간 연중무휴)
    • 고객은 통화료만 부담, 정보 이용료 없음
    • 사전에 청구서에 표시된 고객번호와 출금할 본인 계좌번호, 보안카드 확인 후 신청
    • 가능 은행: NH농협, 우리, SC, 우체국, 외환, 기업, 국민, 신한

편의점에서도 납부 가능!

가까운 편의점에서 전기 요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 가능 편의점: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CU, 바이더웨이

금융기관 이용

청구서를 지참하여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창구 또는 CD/ATM 기기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전월 요금을 납기일 후 납부하여, 당월 전기 요금 청구서에 미납으로 표시되어 나오는 경우, 고객센터(☎ 123) 문의 후 청구서를 재발행 가능
  • 금융기관 비치 CD/ATM 기기 이용 시, 해당 은행 통장을 기기에 넣고 청구서 표시된 전자 납부 번호를 입력하면 통장 잔액에서 출금되어 통장 정리가 되어 나옵니다.

이런 분들께 해당됩니다

전기 사용 고객이라면 누구나 인터넷 전기 요금 납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 방법

24시간 전기 상담 고객센터(http://cyber.kepco.co.kr/ckepco/)에 접속하여 더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필요한 서류는 없습니다.

궁금한 점은 어디에 문의하나요?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 123)로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법률적 또는 전문적인 조언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전기 요금 납부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반드시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 또는 관련 기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부24

이제 인터넷 전기 요금 납부로 더욱 편리한 생활을 누리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댓글 남기기